Skip to content
Aljistory icon96

ALJI STORY

착한 사람들이 잘사는 세상을 위한 이야기들

Primary Menu
  • 군사무기
    • 지상무기
    • 해상무기
    • 항공무기
    • 해외소식
  • 시사논평
    • 정치
    • 사회
  • 최신뉴스
    • 세계정세
    • 천년의적
  • 부동산지식
  • Home
  • 군사무기
  • SLBM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비교분석
  • 해상무기
  • 군사무기

SLBM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비교분석

백호 2025년 03월 20일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acebook
  • Threads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Threads
  • 클릭하여 친구에게 이메일로 링크 보내기 (새 창에서 열림) 전자우편
  • 클릭하여 X에서 공유 (새 창에서 열림) X
151107 n zz999 001 slbm being launched from uss kentucky 8f7bd0 1024

Table of Contents

Toggle
  • SLBM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비교분석
    • 개요
    • 개발 배경
    • 장단점 분석
      • 🔹 장점
      • 🔻 단점
    • 주변국 SLBM 비교 (중국, 일본, 북한)
    • 선진국 SLBM 비교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 발전 방향

SLBM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비교분석


개요

SLBM(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은 잠수함에서 발사할 수 있는 탄도미사일로, 대한민국 해군도 최근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을 통해 자체 개발한 SLBM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였습니다. SLBM은 핵심적인 전략 무기로, 은밀한 작전 수행이 가능하고 높은 생존성을 갖추고 있어 강력한 억제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 주요 특징
    •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 수중에서 기습 발사하여 적 탐지 회피
    • 장거리 타격 가능: 중·장거리 사거리로 전략적 억제력 제공
    • 핵탄두 또는 재래식 탄두 장착 가능: 다양한 작전 수행 가능
    • 다중 탄두(MIRV) 탑재 가능: 한 미사일로 여러 목표 타격 가능

개발 배경

대한민국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및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적인 SLBM 개발을 추진하였으며,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에 탑재할 수 있는 SLBM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이 SLBM을 개발한 최초의 비핵국가 중 하나가 되면서, 전략적 방위 능력을 강화하였습니다.

  • 개발 과정
    • 2010년대 중반: 한국형 SLBM 개발 필요성 검토
    • 2021년: SLBM 시험발사 성공
    • 2022년: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에 탑재 시작
    • 현재: 추가 개량 및 확장형 개발 진행 중

장단점 분석

🔹 장점

✔ 전략적 억제력 강화: 은밀한 기동으로 기습 타격 가능
✔ 적의 요격 회피 가능성 증가: 지상기반 탄도미사일보다 생존성 높음
✔ 강력한 보복 타격 능력: 핵심 목표물에 대한 신속한 대응 가능
✔ 다양한 작전 수행 가능: 핵탄두 및 재래식 탄두 선택 가능

🔻 단점

❌ 개발 및 유지비용 부담: 고급 기술 적용으로 높은 비용 소요
❌ 기술적 난이도 높음: 잠수함에서 안정적으로 발사하는 기술 필요
❌ 핵탄두 미보유로 인한 제한: 재래식 타격 능력에 한정됨

 

Delta class submarine firing ss n 18 dia


주변국 SLBM 비교 (중국, 일본, 북한)

항목 한국형 SLBM JL-2 (중국) 일본 (미보유) 북한 SLBM (추정)
사거리 500~800km 7,400km 없음 1,500km (추정)
탄두 유형 재래식 핵탄두 없음 핵·재래식 (추정)
운용 잠수함 도산안창호급 진급 핵잠수함 없음 신포급 (추정)
다탄두 능력(MIRV) 없음 있음 없음 없음 (추정)
우위 요소 기습 타격 가능 장거리 핵 타격 가능 없음 핵탄두 운용 가능성

선진국 SLBM 비교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항목 트라이던트 II (미국) 트라이던트 II (영국) 불라바 (러시아) M51 (프랑스)
사거리 12,000km 12,000km 8,000km 10,000km
탄두 유형 핵탄두 (MIRV) 핵탄두 (MIRV) 핵탄두 (MIRV) 핵탄두 (MIRV)
운용 잠수함 오하이오급 뱅가드급 보레이급 르 트리옹팡급
다탄두 능력(MIRV)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우위 요소 장거리 다탄두 타격 영국 핵전력 핵심 러시아 전략 핵전력 유럽 최강급 SLBM

발전 방향

  • 사거리 확장: 현재 500~800km 수준의 사거리를 1,000km 이상으로 확대 추진
  • 차세대 탄두 개발: 다양한 탄두 옵션(전자전 탄두, 정밀 타격 탄두) 개발 가능성
  • 핵잠수함 도입 검토: SLBM의 운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 필요
  • 해외 수출 가능성 연구: 아시아 및 중동 국가 중심으로 판매 가능성 검토

관련

Continue Reading

Previous: P-3C 오라이온 해상초계기 비교분석
Next: KF-21 보라매 전투기 비교분석

Related Stories

Img 20250531 134907
  • 해상무기
  • 군사무기
  • 지상무기
  • 항공무기

2025 MADEX 국제해양방위산업전 방문하고 왔습니다.

백호 2025년 06월 19일
Ilyushin il 76md, air koryo an1847251
  • 해외소식
  • 군사무기

북한 조기경보기 도입 추진 - 뭘하려는거냐?

백호 2025년 04월 01일
1024px lockheed c 130 canadian air force (22333914200)
  • 항공무기
  • 군사무기

C-130J 수송기 비교분석

백호 2025년 03월 25일
  • 블로그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문의하기

© 2025 LUX. All rights reserved. | Contact: isaiah@luxdigest.com

 

댓글 로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