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Aljistory icon96

ALJI STORY

착한 사람들이 잘사는 세상을 위한 이야기들

Primary Menu
  • 군사무기
    • 지상무기
    • 해상무기
    • 항공무기
    • 해외소식
  • 시사논평
    • 정치
    • 사회
  • 최신뉴스
    • 세계정세
    • 천년의적
  • 부동산지식
  • Home
  • 군사무기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KDX-I) 비교분석
  • 해상무기
  • 군사무기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KDX-I) 비교분석

백호 2025년 03월 17일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Facebook
  • Threads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Threads
  • 클릭하여 친구에게 이메일로 링크 보내기 (새 창에서 열림) 전자우편
  • 클릭하여 X에서 공유 (새 창에서 열림) X
The republic of korea destroyer roks gwanggeatto the great ddh 971 fires its 5707ad 1024

Table of Contents

Toggle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KDX-I) 비교분석
    • 개요
    • 개발 배경
    • 장단점 분석
      • 🔹 장점
      • 🔻 단점
    • 주변국 구축함 비교 (중국, 일본, 북한)
    • 선진국 구축함 비교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 발전 방향
    • About the Author
        • 백호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KDX-I) 비교분석


개요

광개토대왕급 구축함(KDX-I)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첫 번째 국산 구축함으로, KDX 사업의 1단계 구축함입니다. 대한민국 해군의 구축함 전력 강화를 위한 첫걸음으로, 대공, 대함, 대잠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투함입니다.

  • 주요 특징
    •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구축함: 해군의 독자적인 구축함 개발 능력 확보
    • 대공, 대함, 대잠 능력 보유: 방공 미사일, 대함 미사일, 대잠 무장 탑재
    • 중형 구축함으로서 다양한 임무 수행 가능
    • KDX-II, KDX-III로 발전하는 기반 제공

개발 배경

1980년대 후반 대한민국 해군은 기존의 미군 지원 구축함(기어링급, 프래처급)의 노후화로 인해 신형 구축함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해군은 자체 구축함을 설계 및 건조하는 KDX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그 첫 결과물이 KDX-I인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입니다.

  • 개발 과정
    • 1990년대 초반: KDX-I 개발 착수
    • 1996년: 1번함 '광개토대왕함' 진수
    • 1998년: 해군 배치 시작
    • 현재: 3척 운용 중, 일부 성능 개량 진행 중

장단점 분석

🔹 장점

✔ 국산 구축함의 시작: 대한민국 해군의 독립적인 구축함 개발 능력 확보
✔ 다목적 작전 수행 가능: 대공, 대함, 대잠전 수행 가능
✔ 경제적인 운영 가능: 후속 함급(KDX-II, KDX-III) 대비 유지비 절감
✔ 개량 가능성: 최신 장비를 탑재하여 전력 보강 가능

🔻 단점

❌ 레거시 시스템 사용: 최신 기술 대비 전투체계 및 센서 성능 부족
❌ 탑재 무기 성능 한계: 신형 미사일 및 전투 시스템 개량 필요
❌ 미래전 대응력 부족: 탄도미사일 방어(BMD) 기능 부재

 

2009년5월15일 해군 1함대훈련 (7193824738)


주변국 구축함 비교 (중국, 일본, 북한)

항목 광개토대왕급 (대한민국) 053H3 구축함 (중국) 아사기리급 구축함 (일본) 북한 구축함 (추정)
배수량 3,800톤 3,600톤 3,500톤 2,500~3,000톤 (추정)
크기 (전폭×전장×전고) 17m × 135m × 7.5m 15m × 130m × 7m 16m × 137m × 7.2m 14m × 120m × 6.5m (추정)
최대 속도 시속 55km 시속 54km 시속 53km 시속 40~45km (추정)
주요 레이더 SPS-49(V)5 Type 360 OPS-14 기초형 레이더 (추정)
대공 미사일 RIM-66 SM-1 HHQ-7 RIM-66 SM-1 제한적 (추정)
대잠 능력 홍상어 및 대잠 헬기 Yu-7 어뢰 Type 07 대잠미사일 제한적 (추정)
우위 요소 균형 잡힌 성능, 국산 구축함 개발 높은 대함 미사일 전력 대잠 작전 최적화 제한적 전력 운용 가능

선진국 구축함 비교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항목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미국) 타입 23 프리깃 (영국) 네우스트라시미급 (러시아) 라파예트급 (프랑스)
배수량 4,100톤 4,900톤 4,400톤 3,800톤
크기 (전폭×전장×전고) 15m × 136m × 8m 16m × 146m × 8.5m 17m × 135m × 8m 16m × 133m × 8m
최대 속도 시속 56km 시속 55km 시속 54km 시속 52km
주요 레이더 AN/SPS-49 Type 997 MR-760 DRBJ-11B
대공 미사일 RIM-162 ESSM Sea Wolf 9M317 Buk Aster-15
대잠 능력 홍상어 및 대잠 헬기 Type 2087 소나 Paket-NK 어뢰 MU90 어뢰
우위 요소 미 해군 연계 가능 강력한 대잠 작전 수행 러시아식 대함 미사일 전력 스텔스 설계 적용

발전 방향

  • 센서 및 전투체계 개량: 최신 AESA 레이더 및 신형 대공미사일 도입 추진
  • 대공 방어 능력 향상: SM-2 또는 신형 방공 미사일 업그레이드
  • 대잠 작전 성능 개선: 신형 소나 및 대잠 무기체계 추가
  • 해외 수출 가능성: 신흥국 및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 추진

 

About the Author

백호

백호

Administrator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정보는 넘쳐납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참된자와 거짓된 자의 투쟁속에서 참된 자의 고통으로 거짓된 자의 욕망을 채우는 일들이 만연하고 있습니다. 정직하고 착한 이들이 더 좋은 세상속에서 행복해지길 바라며 대한국민으로서 진실을 알리고 나눔으로 소중한 우리 삶을 지키고자 합니다. 문의사항이나 의견이 있다면 언제든지 연락해 주세요. 📩 이메일: isaiah@luxdigest.com 감사합니다.

Visit Website View All Posts

관련

Post navigation

Previous: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KDX-II) 비교분석
Next: 포항급 초계함 비교분석

Related Stories

Img 20250531 133843
  • 해상무기
  • 군사무기

갑질하던 펠렁스 잘가~~~ 국산 근접방어무기체계 CIWS-II, 한국 기술로 드디어 완성

백호 2025년 07월 09일
Img 20250531 134907
  • 해상무기
  • 군사무기
  • 지상무기
  • 항공무기

2025 MADEX 국제해양방위산업전 방문하고 왔습니다.

백호 2025년 06월 19일
Ilyushin il 76md, air koryo an1847251
  • 해외소식
  • 군사무기

북한 조기경보기 도입 추진 - 뭘하려는거냐?

백호 2025년 04월 01일
  • 블로그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문의하기

© 2025 LUX. All rights reserved. | Contact: isaiah@luxdigest.com

 

댓글 로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