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ALJI STORY

K55A1 자주포 비교분석

K55A1 자주포 비교분석


개요

K55A1 자주포는 대한민국 육군이 운용하는 155mm 자주포로, 미국 M109A2 자주포를 기반으로 대한민국이 자체 개량하여 제작한 K55 자주포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K9 자주포가 배치되기 전까지 대한민국 포병 전력의 핵심을 담당했으며, 현재는 K9과 함께 운용되며 화력 지원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개발 배경

대한민국은 1980년대 미국 M109A2 자주포를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산화 버전인 K55를 개발하여 운용해 왔습니다. 그러나 K9 자주포 도입 이후에도 기존 K55의 운용 연장을 위해 성능 개량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격 제어 장치 개선, 사거리 연장, 자동화 시스템 도입 등을 포함한 K55A1 개량 사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미지출처 : 대한민국 국군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  Wikimedia Commons


장단점 분석

🔹 장점

사거리 증가: 신형 탄약 사용 시 최대 40km까지 타격 가능
K9과 연계 가능: 전술 네트워크 연동으로 통합 운용 최적화
사격 통제 시스템 업그레이드: 자동화된 사격 계산 및 대응 속도 향상
포병 전력 운용 효율화: 기존 K55 대비 유지보수 용이

🔻 단점

기동력 한계: K9 대비 속도 및 기동성이 다소 부족
방호력 제한: 최신 전장 환경에서 생존성 부족
장기 운용 시 유지비 증가: 기존 K55 플랫폼 기반이라 개량 한계 존재


주변국 자주포 비교 (중국, 일본, 북한)

항목 K55A1 (대한민국) PCL-181 (중국) 99식 자주포 (일본) 북한 M-1978 곡산포
중량 27톤 25톤 40톤 30~35톤 (추정)
크기 (전폭×전장×전고) 3.1m × 6.9m × 3.4m 3.0m × 7.5m × 3.2m 3.3m × 8.0m × 3.5m 3.2m × 7.8m × 3.3m (추정)
최대 속도 시속 55km 시속 90km 시속 50km 시속 40km (추정)
주포 155mm/L39 155mm/L52 155mm/L52 170mm/L50
사거리 최대 40km 최대 50km 최대 42km 최대 60km (추정)
자동화 수준 반자동 자동화 시스템 반자동 수동
우위 요소 K9과 연계 가능, 자동화 시스템 경량화 및 높은 기동성 높은 사거리, 신뢰성 초장거리 사격 가능

선진국 자주포 비교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항목 M109A7 (미국) AS90 (영국) 2S19 Msta-S (러시아) CAESAR (프랑스)
중량 28톤 45톤 42톤 18톤
크기 (전폭×전장×전고) 3.1m × 7.5m × 3.5m 3.2m × 9.0m × 3.4m 3.2m × 9.5m × 3.6m 2.6m × 10.0m × 3.2m
최대 속도 시속 61km 시속 53km 시속 60km 시속 100km
주포 155mm/L39 155mm/L52 152mm/L47 155mm/L52
사거리 최대 40km 최대 42km 최대 50km 최대 50km
자동화 수준 자동화 반자동 자동화 자동화
우위 요소 최신 자동화 시스템 강력한 장갑 보호 장거리 사격 가능 높은 기동성과 자동화

발전 방향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