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ALJI STORY

중국의 일대일로는 너죽고 나살자 정책이다.

One_Belt_One_Road

중국의 일대일로(一带一路) 정책은 이기적인 중국식 기만정책이다.

1. 시진핑의 개구라 일대일로

중국의 "일대일로(Belt and Road Initiative, BRI)" 정책은 2013년 시진핑 주석이 제안한 글로벌 경제 협력 프로젝트로, 과거 실크로드의 개념을 현대적으로 확장한 것입니다.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 전 세계 140개국 이상이 참여하고 있으며, 철도, 항만, 도로 등 인프라 개발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시진핑이 전세계를 상대로 사기친 일대일로 정책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한 원인을 살펴보겠습니다.

2. 일대일로라 부르는 주요 기만체계

2.1. 주요 목표

2.2. 핵심 사업

2.3. 주요 참여국

3. 일대일로의 깡패같은 주요활동

3.1. 채무 함정 외교 (Debt Trap Diplomacy)

3.2. 환경 파괴 및 지속 가능성 문제

3.3. 부패 및 불투명한 계약

3.4. 지역 경제 의존도 심화

3.5. 지정학적 긴장 고조

4. 일대일로는 처음부터 중국만을 위한 정책이었다.

4.1. 중국의 자원 확보 및 경제 성장 전략

4.2. 정치적 영향력 확대 목적

4.3. 참여국의 경제적 취약성

5. 글맺으며

일대일로 정책은 글로벌 인프라 개발과 경제 협력을 촉진하자는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웠으나 철길하나 깐다고 항구하나 만든다고 경제발전이나 협력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경제는 톱니바퀴처럼 여러요소가 복합적으로 시스템화되어 발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간접시설 항만이나 도로, 철도 등을 건설한다고 경제발전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커다란 착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을 때 경제 발전을 가속화 되었던 것은 이 시기 자동차산업의 발전과 물류시스템의 확충이 필요했던 시기였기 때문입니다.

스리랑카의 함반토타 항구를 빼았는 것으로 추측해볼 때 중국은 자신들의 경제물류기점확보 및  군사적기지 활용을 통해 더 많은 자원수탈과 기득권확보를 위한 발판으로 일대일로 정책을 활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일대일로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참으로 잘한 일 입니다.

우리 선조들의 남기신 명언. "백년의 적은 일본이요 천년의 적은 중국"이라는 말을 마음에 새겨둘 때가 아닌가 합니다.

Exit mobile version